본문 바로가기

하아무

아이를 잃는다는 것…폐부를 찌르는 고통

《영원한 아이》 필립 포레스트, 열림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살면서 내 아이가 잘못될 거라고 생각해 본 적은 없었다. 생긴 건 그 정도면 중간은 된다 싶고, 공부는 좀 못해도 밥 잘 먹고 건강하기만 하면 제 몫의 삶을 살 거라 생각했다. 내 아이에게 슬픔이나 고통 같은 것 대신 웃음이나 즐거움만 주고 싶은 게 모든 평균율의 부모들 마음 아니겠는가.

그런데 내 아이가 잘못될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게 하는 사건이 끊이지 않고 일어난다. 하루아침에 아이가 증발했다가 결국 죽은 채 발견되는 '잔혹한 동화'가 연출되고 있는 것이다. 생사조차 확인되지 않은 채 십 년이 훨씬 지난 지금까지 담뱃갑이나 공공요금 고지서, 우윳곽에 등장하는 아이들의 사진을 볼 때마다 모골이 송연해진다.

한 번씩 그 아이들의 부모 입장이 되어 생각해보곤 한다. 아이가 사라졌다든가 혹은 싸늘한 주검이 되어 돌아왔다면…. 금방 머리를 세차게 흔들어 그런 생각을 떨쳐내려 하지만 어느새 다시 끈덕지게 들러붙곤 한다. 그럴 리 없다고, 그런 생각을 하면 오히려 더 그런 일이 일어날 것만 같아 자신을 책망하기도 한다.

좀 다른 경우긴 하지만, 《영원한 아이》도 아이를 잃은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쓴 소설이다. 납치나 유괴가 아니라 골육종이라는 암으로 3살난 아이를 떠나보낸 것이다. 하지만 유괴든 암이든, 아이를 잃은 고통은 다르지 않을 것이다. "폐부를 찌르는 고통, 바닥을 알 수 없는 슬픔, 쓰디쓰게 끓어오르는 울분"에 몸부림치는 부모의 심경을 어찌 말로 다 할 수 있겠는가.

하지만 프랑스 작가 포레스트는 고통을 억누른 채 담담히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아이를 생각하며 참았을 눈물과 한숨이 문장마다 배어있다. 아파하는 아이 앞에서 눈물을 보여 어쩌겠는가. 대신 그는 가슴을 치며 말한다. "내 딸아, 널 공포와 근심으로 가득한 이 세상에 데려다놓은 우릴 용서하렴."

죽은 자식은 가슴에 묻는다고 했다. 독일의 시인 뤼케르트가 두 아이를 잃고 쓴 400편 이상의 시 가운데 5편을 골라 말러가 완성한 가곡 <죽은 아이를 그리는 노래> 역시 가슴에 묻힌 아이를 그리워하는 부모의 고통이 절절히 묻어난다. "이 스산한 날씨에, 이 울부짖는 강풍 속에/이 맹렬한 폭풍우 속에서/그 애들은 잠들고 있을 거예요." 죽은 아이를 생각하는 부모는 편안히 잠자지도 배부르게 먹지도 못한다.

소설 속에는 셰익스피어, 조이스, 위고, 말라르메 등 자식을 가슴에 묻은 작가들이 나온다. 자식을 잃고 광기어린 삶을 살 수밖에 없었던 그들과 심정적으로 공감한다. 그러면서 작가는 딸이 떠난 해를 '생애 가장 아름다운 해'였다고 말한다. 아이에게 주어진 시간은 다 흘러갔지만 그 순간들은 언제까지나 부모의 가슴 속에 남아 있을 테니까.

하지만 아이가 부모 곁에 있는 것과 비길 수는 없을 것이다. 이런 서글픈 일이 더 일어나지 않아야 할 것이다.

/하아무(소설가)

영원한 아이 상세보기
필립 포레스트 지음 | 열림원 펴냄
아이들은 모두 자란다, 하나만 빼고 아이를 잃은 자전적 경험을 소재로 한 작가의 첫 번째 소설. 아방가르드 역사 전문가인 작가가, 명확하고 간결하지만 몽환적인 언어로 자식이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보여준다. 삶에 대해, 아버지가 말들의 수의로 짠, 어린 딸을 위한 장송곡이라 평가받는 작품이다. 크리스마스 이브에 태어난 여자아이 폴린은 겨우 세 살이다. 폴린은 자상한 아빠 엄마와 침대 속에서 행복한 장난을 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