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아무

‘표현의 자유’면에서 미국은 불량국가, 그럼 우리는?

알 수 없는 사용자 2008. 7. 16. 03:54

‘표현의 자유’면에서 미국은 불량국가, 그럼 우리는?
《촘스키, 누가 무엇으로 세상을 지배하는가》, 노암 촘스키, 시대의창

‘미국 몽니에 더 열받는 지구’

며칠 전 일본에서 열린 선진 8개국 정상회의(G8)와 관련해 국내 한 언론사의 기사에 나온 제목이다. 미국이 여전히 온실가스 강제 감축에 반대하고 있는데다가, 세계 경제 위기의 주범인 원유와 식량값 급등 문제의 해결책으로 관심은 모은 투기규제도 미국과 영국의 반대로 무산되었기 때문이다. 환경이나 다른 나라의 경제 위기 따위엔 관심 없다는 투다.

이쯤 되자 G8은 ‘부자클럽’이라는 비아냥과 함께 무용론까지 나오고 있는 모양이다. 일찍이 노암 촘스키가 미국을 비롯한 초강대국을 거세게 비난했던 것처럼 어김없이 반 세계화 시위도 벌어졌다.

"나에게도 표현의 자유를 달라."

'표현의 자유' 진정한 민주주의의 척도

누군가 촘스키를 “인류 역사상 가장 자주 인용되는 여덟 번째 인물”이라고 한 바 있지만, 미국산 소고기 수입과 촛불시위 이후 국내에서 더 널리 회자되고 있다. 특히 이른바 조중동의 사실 왜곡과 검찰의 PD수첩 수사 이후, 많은 이들의 항의와 저항은 촘스키의 이론에 바탕을 두고 더 거세어지고 있다.

“촘스키가 행해온 일련의 작업과 지적 통찰은 결국 ‘표현의 자유’와 ‘진실의 규명’으로 귀결된다.” 다시 말해, 표현의 자유가 완벽하게 보장이 될 때 비로소 진정한 의미의 민주주의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 그가 주장하는 요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그런 사회를 기대하기는 어렵고, 특히 미국은 여러 측면에서 ‘불량국가’ 또는 ‘범죄국가’로 규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부자를 더 큰 부자로'-국가의 역할

그의 주장은 매우 단호하고 강도 면에서 아주 강력하다. 권투로 치면 카운터펀치다. 지적 통찰 면에서 매우 적확하고 진실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거다.

수천 년 동안 지식인의 역할은 민중을 소극적이고 순종적이며 무지한 존재로 만드는 것이다. 권력의 시녀인 셈. 이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기업계가 엄청난 자금과 에너지를 쏟아부어 대중을 개별적인 소비자이자 양순한 생산도구로 전락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인과 지식인들은 기업계의 눈치를 보며 그들의 하수인 노릇을 한다. 종교도 마찬가지다. 왜냐하면 대기업이 합법적으로 국민의 몫을 훔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 즉 부자를 더 큰 부자로 만들어주는 것이 바로 국가의 역할이라고 믿어왔기 때문이다.

정권과 조중동의 여론통제 딱하다

이들은 여론을 통제하기 위해 텔레비전, 신문, 영화, 광고 등을 이용한다. 그들의 주요 목표는 바로 ‘인간의 정신을 지배’하는 것이다. 이런 필요에 의해 미국의 홍보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방송과 언론 장악하는 것은 권력의 지상 과제가 되었고, 그들은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그것을 이루려고 안간힘을 쓴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이 그것을 잘 말해주고 있다. 조선일보의 발행부수 ‘뻥튀기’, 중앙일보의 사진조작, PD수첩 검찰 조사, 그리고 인터넷 매체 압박 등 전방위적이다. 안타깝고 안쓰럽고 딱하기 이를 데 없다.

이에 대해 촘스키가 내놓은 해결책은 딱 한 가지. 국민이 깨어나야 한다는 거다. “대중의 각성과 감시, 경계 이외에 우리의 미래를 보장해줄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기 때문이다.

/하아무(소설가)

촘스키 누가 무엇으로 세상을 지배하는가 상세보기
드니 로베르 지음 | 시대의창 펴냄
"미국의 양심"으로 불리는 노암 촘스키의 세상의 진실을 들여다보는 통찰. 프랑스 두 언론인과의 인터뷰를 통해 생성문법이론의 주창자가 아닌, 행동하는 지성으로서의 촘스키의 사상과 활동을 정리했다. 9.11테러 직후에도 테러조직에 대한 성토보다 사태를 초래한 미국의 과오를 비난하는 등 세상의 왜곡된 진실과 줄기차게 싸워온 양심적 지식인 촘스키의 입을 통해 국가와 기업에 종속, 국민의 기억을 지우고 비판정신을 말살
촘스키 세상의 물음에 답하다 1(권력이 여론을 조작하는 방식에 관하여) 상세보기
노암 촘스키 지음 | 시대의창 펴냄
촘스키가 10년 동안의 간담회, 연설회, 세미나 등을 통해 '세상'의 물음에 답한 내용을 총 망라하여, 그 가운데서 촘스키 사상의 고갱이와 세상을 읽는 통찰의 큰 줄기를 보여주는 내용을 치밀하게 가려 뽑아 엮었다. 각각의 다양한 주제는 여러 분야에 걸쳐져 있으며, 이 세상을 이해하는 혁명적인 관점을 제시하면서 권력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혜안을 다루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보자면 촘스키의 독보성은, 사실 관계 정보를
촘스키 우리가 모르는 미국 그리고 세계 상세보기
노엄 촘스키 지음 | 시대의창 펴냄
전세계를 향한 미국의 기만, 그리고 감춰진 음모를 고발하다! 「뉴욕타임즈」신디케이트에 기고한 44개의 칼럼들을 모은 노엄 촘스키의 최신작. 저자는 권력에 도전하기 위해서 그리고 미국의 정책과 군사 행위가 세계 전역에 미친 영향을 폭로하기 위해 꾸준하게 「뉴욕타임스」에 기고했다. 미국의 치부를 적나라하게 드러낸 이 책에서 저자는 간결하지만 거침없는 어조로 미국의 이라크 문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문제,
야만의 주식회사 G8을 말하다 상세보기
노암 촘스키 지음 | 시대의창 펴냄
G8은 세계 8대 부자나라들의 모임이며 매년 만난다. 이들은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세계 정부의 역할을 자임하고 있다. 이들이 하는 짓거리란 자기네들의 이익을 위해 가난한 나라들을 등쳐먹는 일뿐이다. 이 책에서는 노암 촘스키, 수전 조지 등 전 세계의 진보적인 저술가와 활동가들 21명이 이 오만방자한 조직의 악행을 조목조목 따지고 있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신자유주의니, 세계화니, 자유무역이니 하는 '좋은'단어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