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양하

세상에서 가장 시끄러운 아이 이야기

≪거인을 깨운 캐롤린다≫, 모디캐이 저스타인, 보물창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이들은 시끄럽다. 아이가 조용하면 불안해진다. 하루 종일 아이를 돌보자면 하루에 백번 이상은 엄마를 부르는 것 같다. 심정적으로는 귀를 막고 싶으나 이론적으로는 이런 아이들이 정상이다. 그렇다면 너무나도 정상적인 아이 캐롤린다는 어떻게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었는지 들어가 보자.

≪거인을 깨운 캐롤린다≫는 크게 세 개의 이야기 단락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이야기 단락은 달을 짝사랑하던 거인이 달을 사랑하다 지쳐 산이 되었으며 그 산이 깨어나면 분노할 것이라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이야기 단락은 그 마을에 캐롤린다라는 시끄러운 아이가 태어나 금기를 깨뜨리고 산을 깨웠으며, 다시 그 산을 잠재운다는 내용이다. 세 번째 단락은 푸픽톤 마을의 변화와 어른이 된 캐롤린다의 모습이다.

≪거인을 깨운 캐롤린다≫는 푸픽톤 마을에 전해오고 있는 거인 전설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달을 짝사랑하던 거인이 삼만오천 년이 지나 산이 되었으며 그 산이 깨어나면 분노로 모든 것을 파괴해버릴 것이라는 무시무시한 전설이다. 이 전설은 하나의 금기를 만들어낸다. 누구라도 그 거인을 깨워서는 안 된다. 거인이 깨어나면 모든 것을 파괴해 버리기 때문이다. 바로 금기가 이야기를 출발하게 한다.

≪거인을 깨운 캐롤린다≫에 나오는 거인은 전설속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거인이다. 그러나 그 거인의 모양새와 그 거인이 산이 되었다는 것, 그리고 그 마을이 푸픽톤이라는 것에서 중앙 아메리카에서 전해오는 전설을 연결시켜 볼 수 있다.  ≪신의 지문≫(그레이엄 핸콕, 까치)에 보면 같은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수염과 외투를 입은 백인 거인이 문명을 전파하였으며, 배꼽에 마을이 들어섰다는 점이다.

이처럼 사람들은 거인에 대한 일종의 향수를 가지고 있다. 거인은 신화나 전설에서 태초의 인류, 문명을 가져다 준 존재로 인식된다. 우리나라 설문대 할망이나 마고할미와 같은 거인도 사람들에게 따뜻한 정을 베풀고 사라진다. 멕시코 올맥 문화에서 나타나는 케찰코아틀이나 페루의 비라코차 모두 문명에 도움을 준 위대한 거인이다. 거인은 큰 사람이며, 큰 사람은 위대한 역할을 한 존재였을 것이다. 그러므로 거인에 대한 전설과 신화는 어디에서나 발견되는 것이다.

거인을 깨운 캐롤린다는 시끄럽게 노래함으로 거인을 재우고, 노래하는 합창단을 만들어 노래를 계속 부를 수 있었다. 거인에게 시끄러운 노래는 금기가 아니었고, 시끄럽게 노래하는 것 역시 아이에게는 본성적인 것이었다. 달님을 향해 수천 년을 노래한 거인과 태어나자마자 시끄러운 아이였던 캐롤린다는 서로 ‘노래’라는 공통점이 있었던 것이다. 신화와 어린이성의 접목이란 점에서 이 작품은 훌륭한 공통점을 찾아냈다. 이것이 바로 금기를 깰 수 있었던 것이다.

/한양하/

거인을 깨운 캐롤린다(그림책 보물창고 30) 상세보기
모디캐이 저스타인 지음 | 보물창고 펴냄
『거인을 깨운 캐롤린다』는 「쌍둥이 빌딩 사이를 걸어간 남자」로 '칼데콧 상'과 '보스턴 글로브 혼 북 상'을 수상한 작가 모디캐이 저스타인의 그림책으로, 신화적 모티브가 엿보이는 거인의 이야기와 그런 거인을 깨웠다 잠재우는 캐롤린다의 이야기가 흥미진진하게 펼쳐집니다. 옛날에 달을 사랑한 거인이 살았어요. 하지만 달은 거인을 받아 주지 않았고 거인을 받아 주지 않았고 거인은 슬픔에 빠져 울다 잠이 들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