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양하

억눌린 자들의 영웅, 괴물 불가사리

<쇠를 먹는 불가사리>, 정하섭, 길벗어린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얼마 전 해리포터 시리즈가 인기를 끌면서 해리포터에 나오는 신비한 동물 자료를 모은 책이 출판된 적이 있었다. 뭐 그런 걸 책으로 만들어 냈을까 싶었지만 아이들의 호기심은 폭발적이었다. 아이들은 그 책에 나온 상상 동물 이름을 마치 친구의 이름처럼 외고, 서로 누가 더 많이 알고 있는지 알아맞히는 놀이를 하기도 했다.

이렇게 서양의 상상 동물 이름을 줄줄 꿰면서도 정작 우리나라 상상 동물은 무엇이 있는지도 모르는 아이가 많다. 이건 달리 탓할 데 없이 우리 어른의 잘못이다. 이무기나 불가사리를 더 낯설어 하는 아이들로 만든 것에 대한 속죄의 마음으로 <쇠를 먹는 불가사리>를 소개해 본다.

<쇠를 먹는 불가사리>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까지 입에서 입으로 전해졌던 상상의 동물, 불가사리를 소재로 한 그림책이다. 불가사리는 죽이는 것이 ‘불가’한 동물이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영원히 죽지 않는 동물이다.

이런 불가사리를 만든 사람은 과연 누구였을까? 그것도 쇠붙이를 먹어치우는 왕성한 식욕을 가진 상상의 동물을. 그림책은 산골 마을 한 여인이 밥풀을 뭉쳐서 불가사리 인형을 만드는 장면부터 시작한다. 그 여인은 남편과 아들을 모두 전쟁에서 잃고 쇠붙이에 진저리를 치는 인물이다. 그 여인의 바람대로 밥풀떼기 인형은 쇠붙이란 쇠붙이는 모조리 먹어 치운다.

밥풀떼기 인형이었던 불가사리는 쇠붙이를 먹으면서 몸이 단단해진다. 그러나 날이 갈수록 쇠붙이를 먹는 양도 늘어나고 점차 몸집도 커진다. 작가는 과장과 점층의 방법을 잘 살려 쓰고 있다. 처음엔 쥐만했다가, 다음엔 개만했다가, 그 다음엔 소만했다가 나중에는 집채만해졌다는 것이다. 또 안방에 있는 쇠붙이, 집안에 있는 쇠붙이, 마당에 있는 쇠붙이, 온 마을에 있는 쇠붙이란 쇠붙이는 모조리 먹어치운다고 한다. 이런 점층과 과장은 그림책의 글이 갖추어야할 운율감을 잘 살리고 있다.

글 작가는 불가사리의 내력을 ‘뻥튀기’ 한 다음 불가사리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급기야 불가사리는 전쟁터에 나가 모든 쇠붙이를 먹어치워 전쟁을 승리로 이끈다. 그러나 불가사리의 명성에 시샘을 한 임금이 아주머니를 잡아 인질로 삼자 불가사리는 아주머니를 구하기 위해 불구덩이에 뛰어든다. 자신의 몸이 녹는 줄도 모르고 아주머니를 구하는 불가사리의 의리. 이 이야기를 영화로 만든다면 관객들의 박수가 터져 나올 만한 대목이다. 실제 북한에는 신상옥 감독이 만든 <불가사리>라는 영화가 있다.

아주머니를 구한 불가사리는 어디로 갔을까? 그림책의 마지막 장면은 어느 깊은 산골 한 아주머니가 밥풀을 뭉쳐 불가사리를 만드는 장면으로 끝이 난다. 이 이야기는 끝나지 않은 것이다. 억눌린 자들의 마음속에 언제나 살아있기 때문이다. 불가사리가 우리나라 판타지 영화의 주인공으로 다시 태어났으면 한다.

/한양하/

쇠를 먹는 불가사리(상상의 동물 2) 상세보기
정하섭 지음 | 길벗어린이 펴냄
깊은 산골 외딴집에 혼자 사는 아주머니가 어느날 밥 풀로 인형을 만든다. 인형은 자라면서 쇠란 쇠는 전부먹어 치우고 점차 커져 무시무시한 괴물이 되는데. 불가사리는 고려말 출현해 조선이 세워지면서 사라진 전설의 동물. 원색의 삽화와 함께 들려주는 이야기.
불가사리(네버랜드 우리 옛 이야기 24) 상세보기
정해왕 지음 | 시공주니어 펴냄
『우리 옛이야기』시리즈 제24권《불가사리》. 본 시리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옛이야기 가운데 서사 구조가 뛰어난 작품을 엄선하였습니다. 각 권의 그림책은 전문가의 감수를 받아 이야기의 원형을 충실히 살려냈으며, 부드러운 입말체로 맛깔나게 풀어냈습니다. 산골에 혼자 사는 할아버지는 쓸쓸하고 심심하기도 해서 먹다 남은 밥알을 조몰락조몰락 주물러 밤톨만한 네발 짐승을 만들었어요. 할아버지가 나가고 홀로 남게
불가사리(두껍아 두껍아 옛날옛적에 3) 상세보기
김중철 지음 | 웅진출판주식회사 펴냄
쇠붙이를 먹는 불가사리에 대한 옛날 이야기 그림책. 옛날 깊은 산속, 할머니의 때를 조물락 조물락 거리자불가사리가 만들어지고 이때부터 바늘을 먹고, 숟가락을 먹으며 몸이 커다란 황소만해졌다. 특색있는 컬러 그림과 함께 그린 그림책이다.